안녕하세요. 재테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직접 주식투자에도 관심이 많으실텐데요. 오늘은 기업의 재무제표를 근거로 분석한 지표 중에서도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PBR PER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특히 주식가격(주가)을 어떤 관점에서 판단하고, 이 과정에서 ROE(return on equity)를 비롯한 다른 지표들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더불어 네이버증권을 예시로 들어, 각 지표를 손쉽게 확인하는 방법까지 소개해 드리니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식투자를 위해서는 우선 핵심적인 재무제표 지표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정확히 이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PBR PER 개념을 간단히 말씀드리면, PBR(주가장부가치비율)은 기업의 ‘청산가치’ 대비 주가 수준을, PER(주가수익비율)은 기업의 ‘수익성’ 대비 주가 수준을 각각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리고 ROE(자기자본이익률)는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해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주가를 판단할 때, 기업이 가진 자산 대비 주가가 높게 평가되어 있는지 혹은 낮게 평가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살펴볼 만한 지표가 바로 PBR입니다.
이렇듯 기업의 재무상태 면에서 주식을 분석하는 데 있어 PBR은 빠질 수 없는 기본 지표입니다.
다음으로,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돈을 벌고 있는가를 평가하고 싶다면 PER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특히 PBR PER 개념은 서로 보완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PBR은 청산가치(자산가치) 중심, PER은 수익성(EPS) 중심으로 기업을 평가하기 때문에, 항상 투자자들은 함께 살펴보면서 기업의 전반적인 건전성을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위의 PBR과 PER이 ‘주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지표입니다. 반면, ROE는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순이익을 창출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기업 성과’ 및 경영 효율성을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이처럼 ROE까지 함께 보면, 기업이 ‘효율적으로 자본을 굴려 돈을 버는지’와 ‘시장에서 적정 주가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PBR PER 개념을 ROE 같은 지표와 결합해 사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초보 투자자분들께서는 네이버증권을 통해 간단히 지표를 조회해보는 방법을 익혀두시면 좋습니다.
요즘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를 네이버증권에서 검색해보았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해당 주식의 차트와 함께 오른쪽에 간단한 투자정보가 게시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ROE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스크롤을 내려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더 자세한 재무제표 분석 자료들이 나와있습니다. 여기에서는 PER, PBR, ROE 외에도 더 상세한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자료가 궁금하다면 오른쪽 위의 ‘더보기’를 클릭해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앞에서 ROE 설명에서 말씀드렸듯이 이 지표들은 업종별로 비교가 중요합니다. 스크롤을 더 내리면 업종별 자료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더보기 란을 클릭해서 최근 추세나 동종업계의 다른 기업의 주가도 더 살펴볼 수 있습니다.
많은 초보 투자자들은 주식가격이 오르락내리락하는 데만 집중하여, 막연히 ‘싸 보이니까 산다’거나 ‘남들이 좋다고 하니 산다’라는 방식으로 투자를 시작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는 대단히 위험합니다.
결국 PBR PER 개념을 비롯해 ROE, EPS 같은 지표를 살펴보는 일은 ‘주가는 왜 이 가격일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는 과정입니다. 본 포스팅은 주식 투자에 앞서 꼭 알아야 할 개념들을 쉽게 정리해 드리고, 네이버증권과 같은 대표 사이트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려고 했습니다. 재무제표 분석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그만큼 투자 리스크를 줄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공부하며 자신의 투자 철학을 확립해나가신다면, 좋은 성과를 거두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BITO 수익률 비교: 비트코인 ETF 투자 시점별 성과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혹시 여러분은 대체투자로 비트코인에 투자하고…
분산투자를 위해 SGOV, SHV, SHY 등 미국채 ETF 투자 시작하는 방법: 오늘은 미국채 ETF 투자를…
ETF 비교 방법, 투자 전 빠르고 간단하게 ETF를 체크하는 방법: ETF 투자 전 충분한 비교…
ETF 세금 총정리: ETF 투자 시 반드시 알아두셔야 할 세금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드리고자 합니다. 특히,…